[알고리즘] 백준 15988 1, 2, 3 더하기 2 / 파이썬
www.acmicpc.net/problem/15988 15988번: 1, 2, 3 더하기 3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, n을 1, 2, 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를 1,000,000,009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#처음에 % 1000000009를 print에서 해줬는데 메모리초과 테스트케이스가 커지면 초과되는듯..? lst = [0] * 1000001 lst[1], lst[2], lst[3] = 1, 2, 4 for i in range(4, 1000001): lst[i] = (lst[i-1] + lst[i-2] + lst[i-3]) % 1000000009 for _ in range(int(input())): num = int(input()) print(lst[num])
[알고리즘] 백준 2206 벽 부수고 이동하기 / 파이썬
www.acmicpc.net/problem/2206 2206번: 벽 부수고 이동하기 N×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.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,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. 당신은 (1, 1)에서 (N, M)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, 이때 최단 경로�� www.acmicpc.net 방문을 체크하는 ck배열을 삼중배열로 만들어서 벽을 안부술경우 / 부술경우를 구별한다 벽을 안부쉈다면 ck[x][y][0]에 거리를 저장하고, 부쉈다면 ck[x][y][1]에 거리를 저장한다 그리고 n, m까지 갔다면 저장했던 거리를 리턴, 아니라면 -1을 리턴해 출력해준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x, dy = [0, -1, 0, 1], [-1, 0,..
[알고리즘] 백준 16197 두 동전 / 파이썬
www.acmicpc.net/problem/16197 16197번: 두 동전 N×M 크기의 보드와 4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게임이 있다. 보드는 1×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고, 각각의 칸은 비어있거나, 벽이다. 두 개의 빈 칸에는 동전이 하나씩 놓여져 있고, �� www.acmicpc.net #보드 가장자리에 0을 추가해서 좌표의 보드값이 0일 때 떨어진것으로 간주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x, dy = [0, -1, 0, 1], [-1, 0, 1, 0] def sol(): while q: x1, y1, x2, y2 = q.popleft() if ck[x1][y1][x2][y2] > 10: break for i in range(4): xx1, yy1 = x1+d..
[알고리즘] 백준 15653 구슬 탈출 4 / 파이썬
www.acmicpc.net/problem/15653 15653번: 구슬 탈출 4 첫 번째 줄에는 보드의 세로, 가로 크기를 의미하는 두 정수 N, M (3 ≤ N, M ≤ 1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 보드의 모양을 나타내는 길이 M의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은 '.', '#', 'O', 'R', 'B' www.acmicpc.net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move(x, y, dx, dy): m = 0 while True: if B[x][y] == 'O': break if B[x][y] == '#': x -= dx y -= dy break x += dx y += dy m += 1 return x, y, m dx, dy = [-1, 0, 1, 0], [0,..